여뀌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
학명: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var. hydropiper
이명: 붉은털여뀌, 노인장대, 말여뀌, 버들여뀌,
꽃말: 학업의 마침.
원산지: 한국.
생육환경: 습지 또는 시냇가.
여뀌란 이름은 꽃차례가 엮겨져 있는 모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학명의Persicaria hydropiper는그리스어 ‘Hydor'(물)에서 나온 라틴어 'Hydro'와 신라틴어 'Piper'(후추, 고추)의 합성어로 “물가에서 자라는 후추”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영어 이름은 water pepper입니다.
어린순과 잎은 식용 하데 고기의 냄새나 생선의 비린 맛을 없애주는 효과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향신료로 만드는데 쓰기도 하며, 가을에 뿌리째 말린 것을 수료(水蓼)라고 하여 한방에서 해열제, 해독제, 지혈제, 이뇨제 등으로 사용한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털여뀌를 홍초(?草) 또는 대료(大蓼)라고 하며,
“성질이 약간 차고 맛은 짜며 독(毒)이 없고 당뇨와 비슷한 소갈(消渴)과 다리가 나무처럼 뻣뻣하고 시큰거리며 힘이 없으면서 열이 나고 붓거나 마르기도 하는 병(病)인 각기(脚氣)를 주로 치료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약 31종의 여뀌가 있는데, ‘여뀌(버들여뀌, 매운여뀌)’, ‘개여뀌’, ‘가는개여뀌’, ‘털여뀌’, ‘흰여뀌(명아주여뀌, 큰개여뀌, 흰명아주여뀌)’, ‘물여뀌’, ‘봄여뀌’,
‘기생여뀌’, ‘버들여뀌’, ‘이삭여뀌’, ‘명아자여뀌’, ‘갯여뀌’, ‘세뿔여뀌(세뿔꽃여뀌, 산꽃여뀌)’,‘대동여뀌’, ‘붉은대동여뀌’, ‘가시여뀌(별여뀌)’, ‘겨이삭여뀌’, ‘만주겨이삭여뀌’,
‘바보여뀌(점박이여뀌)’, ‘흰꽃여뀌’, ‘끈끈이여뀌’, ‘큰끈끈이여뀌’,
‘향여뀌’, ‘봄여뀌’, ‘장대여뀌(줄여뀌)’, ‘노인장대(붉은털여뀌)’, ‘긴화살여뀌’,
‘바늘여뀌’, ‘가는여뀌’, ‘꽃여뀌’ 등이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