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을날 만나는 야생화 모음

가을날 만나는 야생화 모음

 

가을에 만나는 야생화 모음

가을 야생화 개승마가 꽃을 활짝 한라돌쩌귀 Aconitum napiforme Lev. et Vnt. 갯쑥부쟁이 구절초 (九節...

blog.naver.com

야생화 기르기 꼭 알아야 할것
많은 야생화가 봄과 여름에 피지만, 관리하기에는 여름보다 가을이 더 쉽다. 여름은 온도가 너무 높고 습도 조절이 어려울 뿐 아니라 휴가철이 껴 계속 살피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 단풍놀이 가서 봤던 자연을 집으로 이어 올 수 있어 가을 정취를 집안 가득 채울 수 있다.

야생화 가꾸기는 식구들 마음 가꾸기로 이어진다. 정성을 다해 피워낸 야생화를 보면서 아이들은 생명에 대한 외경심을, 부모들은 보람을 얻을 수 있다. 꽃에 햇볕과 물을 주다보면 마음마저 맑아진다.

집에서 기르기 좋은 가을 야생화로는 보랏빛 과꽃과 패랭이, 지손이 풀을 개량한 풍로초, 15㎝ 키의 앙증맞은 아기 코스코스, 흰빛 별모양인 아기 별꽃 등 이름만으로 담뿍 가을 냄새를 전해주는 꽃들이다. 꽃 봉오리가 있거나 꽃이 핀 것도 좋지만 꽃이 진 것을 사도 좋다. 값 값이 싼 데다 다시 꽃을 피울 때까지의 과정을 처음부터 지켜볼 수 있기 때문이다. 값은 한 뿌리에 보통 3천~5천원씩 한다.

◇ 야생화 가꾸는 요령
흔히 야생화는 기르기가 까다롭다고 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정성과 요령만 있다면 그리 어렵지 않다고 말한다.

먼저 전문점에서 고를 때 예쁜 꽃보다는 우리 집 환경과 맞는 것을 골라야 한다. 같은 아파트 베란다도 남향과 동향 등에 따라 햇볕이 다르고, 통풍되는 정도도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또 야생화는 한두 뿌리씩 따로 키우는 것보다는 모듬으로 기르면 좋다. 끼리끼리 습기를 나눠가져 물관리가 쉬워진다.

그 다음에는 햇빛, 물, 바람 등 3가지 요소 맞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햇빛은 하루 4시간 이상 쬐도록 하고, 표면의 흙이 마르기 시작할 때마다 물을 줘야 한다. 얼마동안 물을 주다 보면 물주는 간격을 익힐 수 있다. 또 매장에서 사온 모종을 다른 화분에 옮겨 심을 때는 마사토를 쓰지 않으면 몸살을 앓을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이외에 야생화를 키우는 고난도 기술로 `작게 키우기'가 있다. 야생화는 작을수록 단단하고 변화무쌍해 기르는 재미가 있다. 작은 화분에 심은 뒤, 물도 흙이 마를 정도로 모자란 듯 주며 강한 햇살에 내놓으면 도움이 된다.